우리를 빈곤으로부터 구하고 세계가 부러워하는 위대한 반전을 이룰 수 있게 한 것은 시장경제가 그 바탕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 사회에서는 시장경제가 안고 있는 물질 만능과 양극화 등 폐해가 나타나고 있고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습니다.
그것은 탐욕을 제어하는 최소한의 정신적 사회적 기재가 뒷받침되지 못한 때문입니다.
그러한 상태에서의 물질적 성취는 사회적 풍요로 진전되지 못하고 갈등의 원인이 되었고 오히려 행복을 멀게 만드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이미 우리사회에 만연된 물질 만능의 풍토와 그를 위한 탐욕의 광풍 속에서 하루빨리 헤어나는 길을 찾는 것입니다.
가능성은 있습니다. 우리 사회가 그 폐해를 인식하고 못 견뎌할 뿐만 아니라 위기감을 공유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이 위기는 그대로 두면 우리 사회를 파괴하는 위험한 상황으로 가게 되지만 하기에 따라서는 폐해를 바로 잡고 반듯한 사회를 만들어 행복한 공동체 쪽으로 방향을 크게 전환하는 기회도 될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그 기회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까요?
첫째는 ‘가치의 재정립’입니다.
소유의 관점에서 행복의 관점으로 분배의 문제에서 추구의 문제로 우리 사회의 화두를 적극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입니다.
굳이 물질적 소유에 의지하지 않더라도 삶이 즐겁고 행복할 수 있는 환경을 기획적으로 만들어 가야 합니다. 삶의 가치와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는 방법은 일상에 있습니다.
둘째는 ‘성숙을 위한 새로운 경제모델’을 찾는 것입니다.
가치를 담는 경제정책과 운영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하고 늦지않게 제시되어야 합니다.
성장 그 자체보다는 행복을, 흔들림과 치우침 없는 게임의 룰 속에서 얻어지는 신뢰와 공정함을, 불로소득과 일확천금의 부당함을 불용하는 적정이윤 개념의 회복을, 과소비의 과시에서는 결코 얻을 수 없는 검소함의 만족을 그 바탕으로 삼는 업그레이드된 자본주의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야 합니다.
셋째는 ‘새로운 가치를 달성할 리더십’을 만드는 것입니다.
역사를 바꾸는 것은 청사진이 아닙니다. 리더십입니다. 국민에게 새로운 가치와 비전을 제시하여 우리 사회에 희망과 통합의 계기를 만들고, 새로운 경제모델로 현실을 바꾸어 나가는 동시에, 긴 호흡으로 행복의 가치를 배우고 행복을 실현하는 방법을 익히며 성숙을 체질화하는 가치교육의 시스템을 정착시켜 나가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는 것과 이기는 방법을 위주로 가르쳐 온 측면이 있습니다.
함께사는 방법, 즐겁고 행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심성을 제대로 가르치는 가치교육을 교육의 본령으로 삼아야하고 그 구체적인 커리큘럼과 교안과 교사 양성을 위한 방안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 새로운 가치와 비전을 기치로 하는 리더십이 추진해야 할 실행의 삼위일체는 ‘새로운 가치와 비전의 대국민 메시지’, ‘새로운 경제모델로 현실 바꾸기’, 그리고 ‘가치교육을 위한 새로운 교육시스템 정립’입니다. 이것이 우리 사회를 파탄의 위기에서 구하고 행복한 공동체로 새로 나게 하는 일입니다.